2019. 6. 1. 00:15ㆍClimbing
클라이밍 & 볼더링 난이도(등급)
실내 클라이밍 센터에 가보면
벽에 붙혀있는 수 많은 테이프를 볼 수 있다.
내가 다니고 있는 클라이밍 센터에도
다양한 종류의 홀드와 색깔 테이프를 볼 수 있다.
이런 종류의 모든 테이프는 특정 등반을 표시하고 있다.
등급은 어느 루트 또는 어느 볼더 문제를
등반하느냐에 따라 달라진다.
루트를 등반 할 때 등반 종류는 각자 다릅니다.
몽클라이밍 센터에도 난이도(등급표)가 있는데
난이도를 나타내는 색깔은 센터마다 다를 수 있다.
나는 언제쯤 V4나 V5가 가능할까?
(사실 V3도 버겁다는 건 안비밀 ㅠㅠㅠ)
이러한 난이도는 주요 암벽등반 선진국마다
암벽등반 난이도 등급이 있는데
인공등반, 빙벽등반, 혼합등반, 볼더링 등급도
다 따로 있다.
우리나라에선 요세미테 등급을 주로 사용하는데
그 이유는 요세미테가 대부분 화강암 지형이라
우리나라와 암질이 비슷하기 때문이다.
일반적으로 실내암벽장에서 등급은
요세미티를 사용한다.
요세미티 등급은 미국 캘리포니아 주에 있는
요세미티 지역에서
시작되었으며 자유등반 등급이다.
초보자 - 처음에 시작하는 많은 사람들이 첫 등반하는 난이도 수준이다.
중급자 - 1년이하의 등반 경험한 사람들을 위한 전형적인 등급이다.
상급자 - 수년간 상당히 규칙적으로 등반을 해 왔다면 이 수준에 도달할 수 있다.
전문가 - 이 단계에서 정말 집중된 방법으로 등반하는 훈련이 필요하다.
신 - 전문 트레이너와 훈련하고 후원자가 있는 생업을 위한 수준이다.
요세미티 등급표 앞에 숫자 5란 것은 암벽등반,
그 중에서도 자유등반을 뜻한다.
그 뒤의 숫자들은 난이도를나타낸 것인데
숫자가 커질수록 어려워진다.
5.9급까지는 뒤의 숫자만으로 나타내지만
5.10급부터는 a b c d 로 세분해서 표현하는데,
a가 제일 쉽고 b c d 로 갈 수록 어려워진다.
현재 세계최고의 등급은 5.14d~5.15a 정도로
알려져 있으며 국내에는 5.14급 클라이머가
10명 정도 된다고 한다.
내가 올라갈수있는 등급은
어느 정도 일지 모르지만
나름의 목표인 5.11a가 되는 그 날까지
열심히 해야겠다.
그 날이 올까?ㅋㅋㅋ
2019/06/03 - [Climbing] - 클라이밍#12 - 스포츠 클라이밍 종목과 경기방식은?
클라이밍#12 - 스포츠 클라이밍 종목과 경기방식은?
<스포츠 클라이밍> 스포츠클라이밍은 불확실하지만 기록을 보면 영국의 리즈(Leeds) 대학에서 1968년 인공암벽장을 만들어 시작되었다는 기록이 있다. 스포츠클라이밍은 건물 내부나 외벽에 높이 15m 내외, 폭 4m..
regomarvel.tistory.com
'Climbing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클라이밍#13 - 카라비너 용도 및 종류 (2) | 2019.06.04 |
---|---|
클라이밍#12 - 스포츠 클라이밍 종목과 경기방식은? (0) | 2019.06.03 |
클라이밍#10 - 클라이밍의 볼더링이란? (2) | 2019.05.31 |
클라이밍#9 - 클라이밍 굳은 살 제거 <괴솔> (0) | 2019.05.30 |
클라이밍#8 - 블랙다이아몬드 크레도 숏 팬츠 M (4) | 2019.05.29 |